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농촌 체류형 쉼터 설치 조건 총정리 2025년 이렇게 바뀜

by 똑가성 2025. 7. 23.
반응형

귀농·귀촌 전 체험 공간으로 주목받는 농촌체류형쉼터 설치 조건, 2025년 법 개정으로 더 명확해졌습니다. 중장년 어르신도 이해하기 쉽게, 토지 기준·면적 제한·진입로·소방 안전 등 핵심 조건을 사례와 함께 풀어드립니다.

농촌체류형쉼터 설치 조건 완벽 정리

잔디
여름엔 풀들도 많이 자라요

시골에서 전원생활을 꿈꾸시는 분들 많으시죠?
언니와 함께 작은 땅에 체험용 쉼터를 알아보던 중에 알게 된 농촌체류형쉼터.
이게 단순 농막이 아니라, 2025년 법 개정으로 설치 기준이 훨씬 명확해졌더군요.
오늘 이 글에선 농촌체류형쉼터 설치 조건을 쉽게 설명드릴게요.


1. 농촌체류형쉼터란 무엇인가요?

  • 농업을 즐기면서 휴식 공간인데요 임시숙소지만 숙박과 체험이 가능한 공간입니다.
  • 농막보다 활용도가 훨씬 높습니다: 면적 최대 33㎡, 숙박과 취사 가능, 단층으로 최대 높이 4m

돌-잔디
돌과 함께 자란 풀


2. 농촌체류형쉼터 설치 조건 알아보기

① 설치 가능한 토지

  • 전·답·과수원 등 농지뿐 아니라,
    → 3년 이상 경작된 임야도 허용
  • 단, 방재지구·붕괴위험지역·개발제한구역 등은 제외돼요.

② 면적 기준

  • 본채 33㎡ 이내, 처마·데크 등 부속시설은 별도 인정
  • 시설 총합 ≤ 토지 면적의 50%
    예: 쉼터 10평 + 데크·주차장 10평 → 농지 최소 40평 이상 보유 필요

③ 구조 및 안전

  • 층수 1층, 높이 4m 이하, 콘크리트 기초 필수
  • 소화기·감지기 등 주택용 소방시설 설치 의무

④ 도로 접근성

  • 소방차·구급차 진입 가능한 도로와 접해야 설치 가능
  • 비포장 현황도로도 가능하지만, 폭 3m 이상 등행정 확인 필수

⑤ 신고와 등재 절차

  • 지자체 사전 상담 → 가설건축물 신고 → 농지대장에 등재
  • 존치기간은 3년, 연장 3회(최대 12년) 가능

3. 100평 이상의 밭을 소유 했을 경우

  • 쉼터 본채 10평, 데크+정화조+주차장 합쳐 10평
  • 합산 20평 → 40평 농지 조건 충족!
  • 잡석 진입로 설치 + 소방기구도 신고 해야합니다

자갈-잔디
비포장 도로


4. 꼭 유의하실 점

  • 전입신고는 절대 금지, 하면 불법건축물로 간주될 수 있어요
  • 불법 농막 사용 중인 경우, 2027년까지 전환 유예가 적용되며, 기준 충족 시 정식 전환 가능합니다
  • 사전 지자체 상담 필수, 도로 기준이나 임야 여부 등 문의하세요

마무리 한마디

농촌체류형쉼터는 단순 농막이 아니라, 농작업과 체험이 가능한 임시 주거시설입니다.
2025년 개정으로 설치 토지·면적·도로·안전 등 설치 기준이 더 명확해졌습니다.
귀농 또는 세컨하우스 준비 중이시라면, 농촌체류형쉼터 설치 조건을 꼭 확인하시고 합법적·안전하게 설치하길 바랍니다.

더 궁금하신 점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