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수도권 주담대 6억 시대, 내 집 마련 전략 어떻게 세울까? 4가지 방법

by 똑가성 2025. 7. 18.
반응형

수도권에서 내 집 마련이 한층 까다로워졌습니다. 2025년 6월28일 부터는 수도권 주담대 6억 원 이라는 신규 한도가 적용되며, LTV-DSR 전입 의무 등 규제도 강화됩니다. 초보자라도 단순하고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새 수도권 주담대 6억대출 기준을 정리했습니다.

수도권 주담대 6억 내집마련 전략 이렇게 준비하세요

숲-집
초보자도 이해 하기 쉽도록 정리 했습니다

1. 수도권 주담대 6억 대출 정확히 뭐가 바뀌었나?

  • 새로운 한도 규제
    2025년 6월28일부터 수도권과 규제지역에서는 주택 담보대출 한도가 최대 6억 원으로 제한됩니다
  • 다주택자-갭투자자규제
    다주택자는 추가 대출이 전면 금지되며, 1주택자도 처분 조건부 대출외에는 대출이 어렵습니다
  • 전입 의무
    대출 후 6개월 내에 반드시 그 집으로 전입해야 하며 지키지 않을경우 불이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스트레스 DSR적용
    실제 금리보다 1.5%p를 더한 스트레스 DSR 기준 연 5.5% 적용으로 대출 가능액이 축소됩니다

2. 내 대출 한도는 얼마일까?

 

2층-집
이제는 잡값 소득 다필요 없다 무조건 이 금액


3.수도권 주담대란? 정말 6억까지 밖에 못 받는 걸까?

이전엔 집값,소득,LTV등 기준을 충족하면 10억 원 이상도 가능했지만 이제는 금액이 관계없이 무조건 6억 원 상한입니다 예를들어 집값 10억짜리 집이 LTV 60% 적용돼도 대출은 6억 원까지만 가능하므로 나머지 금액은 반드시 자금 조달이 필요합니다

4.대출 한도 외 추가 규제 세가지

  1. LTV축소
    생애최초나 일반 LTV 모두 수도권에서는 70%까지 축소
  2. 전세대출 규제 강화
    갭투자 목적의 전세대출은 전면 금지되며, 보증비율도 90%에서 80%로 낮아졌습니다
  3. 만기 제한
    주담대 만기도 기존 40년에서 이제는 30년 이하로만 설정할 수 있습니다

도로-옆-집
이제는 능력제


5.내 집 마련 적략 어떻게 준비할까?

㉠목표 금액 재설정

집랎이 높으면 무조건 자기자본을 많이 마련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10억짜리 집이라면 최소 4억 이상 현금이 필요 하단 말이죠

㉡청약이나 분양가 상한제 단지 노리기

분양가 상한제 적용 단지는 세세보다 저렴하니 청약 전략이 중요합니다

㉢비규제지역 우회 구매 고려

수도권 대출 규제 대신 지방이나 비규제지역을 노리면 규제 부담이 줄어듭니다.

㉣전입 의무 계획 세우기

꼭 실저구 목적이 있어야 하므로 6개월 이내 전입 가능한지 미리 계획해야 합니다

6 초보자도 알아야 할 용어 정리

용어 의미
LTV 집값 대비 대출 비율
DSR 연간 원리금 상환액/ 연소득 비율
스트레스 DSR 금리 상승 시에도 감당 가능한 수준을 더해 계산하는 기준
전입 의무 대출 받은 주택에 실제로 거주해야 하는 규정

 

마무리 하며 현실적으로 나만의 전략이 필요합니다

지금은 수도권 주담대6억 대출 시대입니다. 무조건 대출이 가능했던 과거는 끝났습니다. 대출 상한이 6억으로 딱 짤리고 DSR전입의무 스트레스 DSR까지 더해지니 더 큰 계획이 필요 합니다. 이 새로운 규제 아래에서 길을 찾으려면 자기자본 확보, 대출 가능액 계산, 청약 전략, 지역 확대등이 요구 됩니다.

조급하게 집부터 보기보다는 먼저 내 재정 상황부터 정리하고 현실적인 목표부터 세워보세요.

이 글에 도움이 될 만한 부분이 있다면 좋겠습니다.

반응형